데이터가치연구소 공식 블로그

데이터 아키텍트(DA)란 무엇인가요?

아키텍트(Architect)는 사람을 지칭합니다.
사전에서는 무언가를 계획, 설계, 감독하는 사람 정도의 의미로 정의합니다.
그러므로 데이터 아키텍트는 데이터와 관련된 것들을 계획하고 설계하고 감독하는 사람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 아키텍트에 대해 다음 세 가지 항목을 구체적으로 다루겠습니다.

  • 데이터 아키텍트의 역할
  • 데이터 아키텍트가 갖춰야 할 역량

1. 데이터 아키텍트의 역할

성공적인 공공데이터 표준화 프로젝트 위해 확인해야 할 사항‘ 글에서 데이터 표준 전문가의 역할을 강조하였습니다.
데이터 표준 전문가는 데이터 표준을 관리하고 수행하는 역할을 주로 담당합니다.
데이터 아키텍트 즉, DA는 데이터 표준 전문가의 역할을 포함합니다.
DA는 데이터 표준을 운영하는 일외에도 중요한 역할이 있습니다.

– 데이터 아키텍처 수립

데이터 아키텍처 수립은 데이터 아키텍트의 이름에 걸맞는 역할입니다.
데이터 아키텍처는 다룰 내용이 많기 때문에 다음 글에서 다룹니다.

데이터 아키텍트가 주로 수행하는 업무를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습니다.

  • 데이터 아키텍처 수립
  • 데이터 표준 관리
  • 데이터 모델 관리
  • 데이터 품질 관리

차세대 프로젝트나 표준화 프로젝트에서 DA가 맡는 업무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데이터 모델러, 데이터 표준 관리자, 데이터 품질 관리자 모두 DA의 역할입니다.

2. 데이터 아키텍트가 갖춰야 할 역량

데이터 아키텍트는 기업의 뼈대에 비유할 만큼 매우 중요한 위치를 담당합니다.
담당하는 역할의 중요성 만큼 갖춰야 할 지식도 그만큼 많습니다.
그런데 ‘지식’이 있다고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온라인쇼핑몰’ 시스템과 ‘정산’ 시스템이 있을 때 시스템별 표준을 가져가야 할까요?

현실은 이러한 질문투성이 입니다.
‘지식’만으로는 명쾌한 답을 내리기가 어렵습니다.
그래서 ‘지식’ 보다는 ‘역량’이 더 적절한 표현입니다.

여러 프로젝트를 수행하면서 얻은 경험과 논리로 더 나은 판단을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전문가의 ‘경험’과 ‘논리’는 ‘지식’이 뒷받침되어야 합니다.

데이터 아키텍트는 다음의 분야에서 전문적인 지식을 가져야 합니다.

  • 데이터를 관리하는 지침
    • 데이터 표준 지침
    • 데이터 모델 지침
    • 데이터 품질 지침
  • 데이터 표준
    • 표준 단어
    • 표준 용어
    • 표준 도메인
    • 표준 코드
  • 데이터 모델
    • 주제영역
    • 개념 데이터 모델
    • 논리 데이터 모델
    • 물리 데이터 모델
  • 데이터 흐름
    • 소스(Source) – 타깃(Target) 정의

위의 내용은 데이터 아키텍처를 구성하는 항목입니다.
하지만 이해를 돕기 위해 분리하여 표현하였습니다.


데이터 아키텍트는 프로젝트를 할 때에만 필요한 역할이 아닙니다.
기업의 데이터를 항상 좋은 상태로 관리하기 위해 반드시 보유해야 할 역할입니다.

author avatar
데이터가치연구소 데이터가치플래너
『공공기관 표준화 전문』 대표 컨설턴트 허 상 철 |
guest
0 Comments
Oldest
Newest Most Voted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